728x90
반응형
엑셀 2007에서 매크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여러 번 반복되는 작업을 바로 가기 키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보기 > 매크로 > 매크로 기록(R)... 을 클릭합니다.
매크로 이름과 바로 가기 키를 지정 후 확인을 누르면 기록이 시작됩니다.
매크로 저장 위치를 현재 통합 문서로 지정하면 현재 문서가 활성화될 때만 실행됩니다.
여러 번 반복할 작업을 실행 후 실행이 완료되면 하단의 정지 아이콘을 눌러 매크로 기록을 중단합니다.
보기 > 매크로 > 매크로 보기(V)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매크로 리스트가 나오고, 이 창에서 실행과 편집, 삭제 등을 할 수 있습니다.
편집을 누르면 실행한 내용이 위와 같이 VBA 코드가 나옵니다.
해당 편집기에서 코드를 추가 수정할 수 있습니다.
매크로 사용 통합 문서를 재실행 시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했다는 경고가 뜰 수 있습니다.
옵션을 클릭하여 이 콘텐츠 사용을 선택하면 매크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간단한 VBA 코드 몇 가지를 통해 매크로 두 가지를 구성해 봤습니다.
각 주석을 참고하면 코드의 기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Sub Macro1()
' Macro1 Macro
' 바로 가기 키 : Ctrl+Shift+M
' 시트 선택하기
Sheets("Sheet2").Select
' 시트 여러개 선택하기
Sheets(Array("Sheet2", "Sheet3")).Select
' 선택한 시트 삭제하기
ActiveWindow.SelectedSheets.Delete
' 시트 이름 바꾸기
Sheets("Sheet1").Name = "Info"
' 워크북 저장하기
ActiveWorkbook.Save
' 워크북 닫기
ActiveWorkbook.Close
End Sub
Sub Macro2()
' Macro2 Macro
' 바로 가기 키 : Ctrl+Shift+N
' 시트 선택하기
Sheets("Info").Select
' 그래프 추가 선택하기
ActiveSheet.Shapes.AddChart.Select
' 그래프 범위 선택하기 (A열, B열 선택)
ActiveChart.SetSourceData Source:=Range("'Info'!$A:$A,'Info'!$B:$B")
' A열을 X 값으로 지정하기
ActiveChart.SeriesCollection(1).Delete
ActiveChart.SeriesCollection(1).XValues = Range(ActiveSheet.Cells(2, 1), ActiveSheet.Cells(1, 1).End(xlDown))
' 그래프 타입 지정하기
ActiveChart.ChartType = xlXYScatterSmoothNoMarkers
' 추가된 그래프의 Y축 범위 변경하기
ActiveChart.Axes(xlValue).Select
ActiveChart.Axes(xlValue).MinimumScale = -5
ActiveChart.Axes(xlValue).MaximumScale = 10
' 추가된 그래프의 X축 범위 변경하기
ActiveChart.Axes(xlCategory).Select
ActiveChart.Axes(xlCategory).MinimumScale = -2.5
ActiveChart.Axes(xlCategory).MaximumScale = 6.5
End Sub
728x90
반응형
'IT > Etc Ti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sual Studio 없이 빌드하기 (MSBuild 사용) (+ 에러와 삽질의 과정...) (2) | 2024.05.28 |
---|---|
Visual Studio 2019 버전 오프라인 설치 파일 만들기 (2) | 2024.05.27 |
[linktr.ee] 링크트리 사용법 알아보기. 인스타그램 프로필 링크에 여러개 넣는 방법. (71) | 2024.02.05 |
[Windows11] 윈도우 이모지, GIF, Kaomoji, 기호, 클립보드 기록 사용하기 단축키 (블로그 포스팅을 이쁘게 꾸며보자😘) (39) | 2023.08.24 |
[J1C] Serial, TCP, UDP Communication Tool 다운로드 및 사용방법 (2) | 2023.04.03 |